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

[서평] 죽은 자의 목소리로 들려주는 산 자의 이야기들 죽은 자에게 입이 있다‘이 미스터리가 대단하다’ 1위, 일본 서점 대상 2위, 일본 추리작가협회상과 야마다 후타로상을 석권하고 국내에서도 10만 부 이상의 판매고를 올린 『제노사이드』의 작가 다카노 가즈아키의 최신작 『죽은 자에게 입이 있다』가 일본보다 앞서 한국에서 첫선을 보인다. 20여 년간 7편의 장편소설과 1편의 연작 소설집을 출간해 온 작가에게는 사실상 첫 단편집으로서의 의의를 띤 작품집으로, 미스터리에서 공포와 SF까지 아우르는 여섯 편의 수록작 중 네 편은저자다카노 가즈아키출판황금가지출판일2025.06.13 다카노 가즈아키는 이전에 『제노사이드』라는 장편 소설로 처음 알게 된 작가다. 추리 스릴러와 같은 형태로 독자를 끌어들이는 흡인력, 각 인물 모두의 입장이 납득 가능할 만큼 촘촘한 개연성.. 2025. 6. 30.
『우리는 왜 선물을 줄 때 기쁨을 느끼는가』 서평: 우리는 모두 ‘전달자’의 운명을 타고났다 우리는 왜 선물을 줄 때 기쁨을 느끼는가사물이 상품이 되고 온갖 행위를 서비스로 만드는 자본주의 사회이지만, 우리는 세상에 ‘돈으로 살 수 없는 것’이 존재함을 알고 있다. 누군가에게 몰래 건네는 선물부터 자신의 이익을 포기하면서 타인을 돕는 행위까지. 『우리는 왜 선물을 줄 때 기쁨을 느끼는가』는 비트겐슈타인 철학을 전공한 저자가 돈으로 살 수 없는 것, ‘증여’의 원리를 밝혀내는 과정을 통해 이 세계의 구조를 파악하고 나아가 우리 삶의 의미와 잃어버린 가능성을 일깨워주는 책이다. 저자는 비트겐슈타인저자지카우치 유타출판다다서재출판일2025.05.23 우연히 서평단 모집 글을 마주치고 알게된 다다서재의 신간 도서!감히 최근 읽은 비문학 도서 중 가장 깊생하게 만드는 책이었다는 점을 강조하며 서평을 시작합.. 2025. 6. 5.
『전부 저 때문에 벌어진 일이에요』 서평: 어차피 우리 다 언젠가 죽어! 전부 저 때문에 벌어진 일이에요매체에서 “익살스럽고 공감 가는 작품”, “생생한 캐릭터들이 이끄는 빠르고 경쾌한 이야기” 등의 찬사를 받았고, 죽음, 종교, 정신 건강, 퀴어 정체성 등의 복잡한 주제를 유쾌하고 코믹하게 풀어내 젊은 독자들에게 큰 반향을 일으켰다. 『전부 저 때문에 벌어진 일이에요』는 끊임없이 치고 들어오는 유쾌한 상황과 대사로 무장한 페이지터너다. 피식피식 웃으며 페이지를 넘기면 어느새 마지막 장에 다다라 있다. 빠른 속도감으로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지금까지 본 적 없었던저자에밀리 오스틴출판클레이하우스출판일2025.05.14* 좋은 기회로 편집자님으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X(구 트위터)에 작성했던 후기를 여기에도 옮겨둡니다. 총 36번이나 괜찮기만 하다는 주인공이 있다?1장이 15쪽.. 2025. 6. 4.
2025년 북스타그램 트렌드 (책리뷰, 피드꾸미기, 해시태그) 북스타그램은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여 책을 나누고 이야기하는 인스타그램 속 작은 독서 커뮤니티입니다. 단순히 책을 읽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사진과 글로 감상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공간으로 자리 잡았죠. 2025년 현재 북스타그램은 감성 중심에서 실용 콘텐츠까지 확장되며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북스타그램의 최신 트렌드와 함께, 책리뷰 작성 팁, 피드 꾸미기 아이디어, 효과적인 해시태그 활용법까지 소개합니다. 책리뷰 트렌드: 감성에서 정보성으로예전에는 북스타그램 하면 감성적인 사진에 짧은 문장 하나를 곁들인 글이 주를 이뤘습니다. 하지만 2025년의 책리뷰는 훨씬 정보 중심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책 제목과 작가 소개는 기본, 간단한 줄거리 요약 + 인상 .. 2025. 4. 22.
지역 도서관과 함께하는 독서기록 노하우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공공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대여하는 공간이 아니라, 지역 주민과 책을 연결해주는 소통의 장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독서기록 프로그램과 서평 모임, 책 관련 워크숍 등을 통해 도서관이 책 읽기 습관 형성은 물론, 기록의 시작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오늘은 지역 도서관을 활용해 독서기록을 효과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과, 각종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지속 가능한 독서기록 습관을 만드는 노하우를 소개합니다. 공공도서관의 독서기록 지원 프로그램전국 각지의 공공도서관에서는 다양한 독서기록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독서노트 제공, 서평쓰기 교육, 독서 감상문 공모전 등이 있으며, 도서관별로 연령이나 테마에 맞춘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습니다.예를 들어 서울시립도서관에서는 매년 ‘한 책 읽기’.. 2025. 4. 22.